대양의 느낌: 영화와 바다 / 에리카 발솜 지음 ; 손효정 옮김 / ·A : 현실문화연구
소장처: 자연공학예체능실 [791.4362162 B19oKㅅ]
대양의 감정, 바다의 느낌이란 어떤 것인가?
영화는 대양의 느낌을 어떻게 표현해왔는가?
인간의 몸은 3분의 2가 물로 구성되어 있고, 바다 역시 지구 표면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다. 물은 생존과 직결되어 있는 인류의 존재 조건인 셈이다. 물의 기원인 바다가 생태적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인류세 시대에 예술가들의 가장 첨예한 관심사가 되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른다. 『대양의 느낌: 영화와 바다』는 최근 들어 예술가들의 작업에서 바다가 자주 다뤄지는 경향에 주목해, 지난 100년 동안의 영화에서 바다 풍경을 다뤄온 기록을 탐구한다.
롤랑 바르트는 바다가 의미의 생산을 마비시키는, 흔적을 남기지 않는 텅 빈 공간이라고 했다. 저자 에리카 발솜은 바르트의 말처럼 바다가 정말 아무런 메시지도 담고 있지 않는 것인지 반문한다. 저자에 따르면, 서사 영화부터 다큐멘터리까지, 할리우드 영화부터 아티스트 필름까지, 1895년부터 현재로 이어지는 영화의 역사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저자가 보기에 바다는 자연과 문화를 가로지르는 방대하고 유동적인 기록을 품고 있다. 바다는 투명하거나 중립적인 공간도 아니고, 바르트가 규정한 것처럼 부정적인 공간도 아니다. 그래서 저자는 바다를 둘러싼 낡은 관념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바르트는 물론 바다에 대한 낭만주의적인 환상까지도 포함해서.
그렇다면 ‘대양의 느낌’이란 무엇인가? 책의 제목으로도 쓰인 ‘대양의 느낌’은 프로이트가 로맹 롤랑에게서 빌려온 어구다. 프로이트는 대양의 느낌을 “나와 외부 세계 사이의 끊을 수 없는 유대감”으로 정의한다
[출처:교보문고]
'신착도서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쓰는 시간 : 한 줄의 기록이 삶을 바꾼다 (4) | 2025.06.09 |
---|---|
세상에서 수학이 사라진다면 (3) | 2025.06.09 |
철학자와 오리너구리 (0) | 2025.06.09 |
이해받는 것은 모욕이다 : 깊은 내면의 ‘나’를 만나는 게슈탈트 심리상담 (1) | 2025.03.10 |
39kg (0) | 2025.03.10 |